1 분 소요

오늘의 책 읽기: 2장. 의미 있는 이름


👍 책에서 기억하고 싶은 내용을 써보세요

  • 의도를 분명히 밝혀라
  • 그릇된 정보를 피하라: List라는 이름도 실제로 타입이 리스트가 아니면 그릇된 정보를 제공하는 셈이다.
  • 의미 있게 구분하라
  • 발음하기 쉬운 이름을 사용하라: 두문자어를 사용하지 않는다.
  • 검색하기 쉬운 이름을 사용하라
  • 인코딩을 피하라
  • 자신의 기억력을 자랑하지 마라
  • 기발한 이름을 피하라: 다 아는 이름을 써라.
  • 한 개념에 한 단어를 사용하라
  • 말장난을 하지 마라
  • 해법 영역에서 가져온 이름을 사용하라: 코드를 읽을 사람도 프로그래머라는 사실을 명심한다. 모든 이름을 문제 영역(domain)에서 가져오는 것은 현명하지 못하다.
  • 문제 영역에서 가져온 이름을 사용하라
  • 의미 있는 맥락을 추가하라: 객체를 만들고 그 안에 변수를 만들거나, 어느 영역에 사용하는 변수인지(맥락을 알 수 있게) 한다.
  • 불필요한 맥락을 없애라

💡 오늘 읽은 소감은? 떠오르는 생각을 가볍게 적어보세요

  • 검색하기 쉬운 이름이라는 것은, 이미 전에 선언이 되어 있는 변수들까지 고려를 해서 지어야 할까? 그런 변수들은 나중에 발견되면 고쳐도 되지 않을까? 고쳐야 할까?
  • 읽으면서 한 개념에 한 단어를 사용하는 게 당연하다고 생각했지만, 정작 나조차도 그러지 못하고 있다. 하물며 여러명이 개발을 한다면 어떻게 될까. 문서화도 필수적이라는 생각이 든다. 아니면 주석을 달아도 되지 않을까?
  • 주기적으로 2장만 반복해서 읽으면 좋을 것 같다. 항상 읽으면서 내가 지금 쓰고 있는 코드에는 문제가 될 만한 작명이 없을까 생각해봐야 할 것 같다.
  • 커서 ide 같은 건 프로젝트 전체를 보면서 단어 작명도 센스 있게 잘 해줄까? 언 써서 모르겠다.

❓ 궁금한 내용이 있거나, 잘 이해되지 않는 내용이 있다면 적어보세요.

📗 오늘 읽은 다른사람의 TIL

❓ 이 책을 왜 읽으시나요?

read

#노개북 #노마드코더 #개발자북클럽