Clean Code Challenge Day 8
오늘의 책 읽기: 6장. 객체와 자료구조
👍 책에서 기억하고 싶은 내용을 써보세요
- 변수 사이에 함수라는 계층을 넣는다고 구현이 저절로 감춰지지는 않는다. 추상 인터페이스를 제공해 사용자가 구현을 모른 채 자료의 핵심을 조작할 수 있어야 진정한 의미의 클래스다.
- 분별 있는 프로그래머는 모든 것이 객체라는 생각이 미신임을 잘 안다. 때로는 단순한 자료 구조와 절차적인 코드가 가장 적합한 상황도 있다.
- 디미터 법칙: 모듈은 자신이 조작하는 객체의 속사정을 몰라야 한다.
💡 오늘 읽은 소감은? 떠오르는 생각을 가볍게 적어보세요
- 객체지향이 절차적인 코드보다 모든 부분에서 낫다는 잘못된 생각을 갖고 살았다. 상보적 관계가 될 수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.
- 디미터 법칙 부분을 보면 객체와 자료구조의 차이점이 명확히 보인다.
- OOP 수업을 정말 대충 들었다는 생각이 든다.
❓ 궁금한 내용이 있거나, 잘 이해되지 않는 내용이 있다면 적어보세요.
📗 오늘 읽은 다른사람의 TIL
#노개북 #노마드코더 #개발자북클럽